기사입력 2008.04.28 10:23 / 기사수정 2008.04.28 10:23
[엑스포츠뉴스=강대호 기자] 29일, 일본의 사이타마 슈퍼아레나에서 일본 종합격투기단체 《드림》의 2회 대회가 열린다. 미들급 16강전 위주로 진행되는 이번 대회 제2경기에는 긴타이에이(한국명 김태영, 2승 2패)가 미노와맨(본명 미노와 이쿠히사, 39승 8무 27패)과 격돌한다.
김태영은 종합격투기보다는 입식타격가로 유명한 선수다. -70kg으로 시작했을 정도로 K-1의 무제한급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우승경력자 페터르 아에르츠(91승 1무 26패)와 에르네스토 호스트(98승 1무 19패)가 서슴없이 ‘아시아 최고 입식타격가’로 꼽을 정도로 탁월했다.
K-1 MAX(-70kg)는 2002년에야 생겼다. 김태영의 잠정은퇴 시기가 2000년이었으니 전문 무에타이 선수가 아녔음에도 1996년 WMC(세계무에타이평의회) -70kg 챔피언에 올랐던 김태영이 ‘전성기 당시 맥스에서 활약했더라면’이라는 아쉬움은 팬이라면 충분히 가질만하다.
가라테월드컵 우승(1995)·2위(1992)·3위(1993), 가라테 일본오픈 2연속 2위(1993-94), 1994년 UKF -93kg 챔피언, 1995년 K-3 토너먼트 2위 등의 경력, 현재 맥스 정상급 선수와 견줘도 손색이 없는 180cm의 신장은 김태영의 맥스 성공가능성을 보장하고도 남았다.
김태영의 운동신경은 천부적이었던 것 같다. 유년기부터 가라테를 강요하던 부모에 대한 반발로 초등학교 4학년부터 시작한 축구로 중학교 3학년에 일본 전국대회 우승을 경험한 것이 대표적이다. 축구로 원하는 바를 이뤘다고 생각한 김태영은 고등학교 진학과 함께 평소 관심 있던 복싱을 하려 했으나 부모의 만류로 가라테를 다시 시작했다고 한다. 만약 김태영이 복서가 됐다면 지금 필자가 이 글을 쓰는 일도 없었을지 모른다.
2006년 K-1의 종합격투기대회이자 드림의 전신인 히어로스의 -85kg 준준결승으로 현역으로 복귀한 김태영의 상대는 자신에게 타격을 배우는 아키야마 요시히로(한국명 추성훈, 10승 1패 2무효)였다. 종합 데뷔전에서 김태영은 유술의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팔 관절 공격으로 패배했다.
지난해 히어로스 한국대회에서 같은 타격가인 젤그 갈레시치(7승 3패, 크로아티아)와 화끈한 경기가 기대됐지만 36초 만에 심각한 상처로 TKO 패했다. 노련한 김태영도 조국에서 갖는 첫 경기를 앞두고 설렘과 긴장을 감추지 않았기에 본인·팬 모두 아쉬움이 컸다.
김태영의 상대인 미노와맨은 기행으로 유명하지만, 종합격투기 74전의 경험이 풍부한 선수다. 미들급 선수임에도 슈퍼헤비급의 마이크 폴츨로펙(1승 1패)·에릭 에시(별칭 버터빈, 10승 1무 6패, 이상 미국)·자이언트 시우바(2승 6패, 브라질)를 꺾어 거인 천적으로 명성을 높였다.
참고: 이 글은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과 현지시각을 반영했다.
[사진=왼쪽부터 긴타이에이,마노와맨 (C) 드림 공식홈페이지 (dreamofficial.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엑's 이슈
주간 인기 기사
화보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