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츠뉴스 나금주 기자] '선녀들-리턴즈' 선녀들이 조선시대의 직업을 탐사하는 가운데, 알베르토, 신지가 등장했다.
26일 방송된 MBC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8회에서는 조선직업실록 특집이 그려졌다.
이날 설민석, 전현무, 김종민, 유병재는 민속촌에 도착했다. 설민석은 조선시대 신분제도에 대해 "법적으론 양천제도였다"라고 밝혔다. 천민은 의무와 권리도 없고, 조선시대의 무당, 기생, 광대 등이 천민으로 취급받았다고.
설민석은 "우리가 알고 있는 오늘날 연예인들이나 기생, 백정이 노비와 비슷했다"라고 밝혔다. 김종민은 "노비라고요?"라고 놀랐고, 전현무, 유병재, 김종민은 서로를 보며 "노비였네"라면서 웃었다. 전현무는 설민석에게도 "선생님도 연예인이니까 노비다"라고 밝혔다.
그러던 중 암행어사가 등장했다. 암행어사는 바로 알베르토였다. 설민석은 조선의 암행어사 제도에 관해 "중앙집권체제, 지방행정제도가 발전했단 걸 알 수 있다"라고 밝혔다. 고려를 세운 왕건이 사또를 한 명도 파견하지 못했던 것에 비해 조선에선 사또를 감시하는 암행어사까지 파견했다고.
이어 설민석은 암행어사의 대명사인 박문수에 관해 밝혔다. 설민석은 "영조가 무서워 한 사람이 박문수다. 관리들 녹봉을 삭감하고, 양반도 군역을 내자고 주장한다. 대원군보다 100년 앞서서 진보적인 조세제도를 내세운 거다. 관리들은 물론 영조도 놀랐다. 영조가 절충안을 낸 게 균역법이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박문수는 암행어사가 아닌 별견어사였다. 암행어사로 알려진 이유는 별견어사로서 암행어사가 했던 일들을 했기 때문이라고.
선녀들은 양반 생활을 탐구했다. 독서 시간이 대부분이었다. 양반들 삶의 목표가 과거 급제였기 때문. 설민석은 "현재 공무원 경쟁률이 약 40:1 정도다. 조선시대는 2,000:1이다. 3년에 한 번 있고, 다 과거로 몰린다"라고 밝혔다.
전현무는 "당시 한양 인구가 20만 명이다. 과거시험 응시자 수가 11만 명인데, 실제 제출된 답안지는 3만 8천 개였다"라고 밝혔다. 전현무는 그 이유에 관해 "조선 시대는 시험 문제를 앞에 걸어놓고 문제를 받아적는 체계였다. 좋은 자리를 차지하려고 싸우고, 자리를 잡아주는 선접꾼도 있었다"라고 했다. 유병재는 선접꾼 말고도 거벽과 사수가 있었다고 밝혔다. 유병재는 "거벽은 모범답안을 작성하고, 사수는 그걸 다시 적어줬다고 한다"라고 했고, 설민석은 "한 사람이 남의 답안지 들고 도망가는 경우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선녀들은 과거시험을 보기로 했다. 김종민은 "나 노비 하면 안 되냐. 자리 잡고 있겠다"라고 말해 웃음을 안겼다. 선녀들은 문제를 들었지만, 문제를 이해하지 못했다. 알베르토는 "저만 못 알아들은 거 아니죠"라고 말하기도. 이어 선녀들은 답안을 적었고, 설민석은 유병재가 장원급제자의 정답과 가장 비슷하다고 밝혔다. 장원급제자 유병재는 기뻐했고, 설민석은 "동기들 9급 공무원에 합격할 때 바로 6급이 되어 수령으로 파견된다"라고 밝혔다.
이후 누군가 "한잔하고 가세요"라고 소리쳤다. 코요태 신지였다. 신지는 "종민 오빠에게 누가 되지 않으려고 공부하려고 하는데, 제 옆에서 자꾸 종민 오빠가 자기 부분을 설명하더라. 자기 노래 가사도 아직 잘 못 외우는 사람이 '선녀들' 만큼은 열심히 공부한다"라고 밝혔다.
enter@xportsnews.com / 사진 = MBC 방송화면
나금주 기자 nkj@xports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