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xportsnews.com/contents/images/upload/article/2022/0417/1650201262246947.jpeg)
(엑스포츠뉴스 김유진 기자) 배우 이혜영과 김민희가 홍상수 감독의 '소설가의 영화'를 통해 편안한 호흡을 보여주며 관객들을 극 속으로 끌어들인다.
'소설가의 영화'는 홍상수 감독의 27번째 장편영화로, 지난 2월 열린 제72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은곰상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전작인 '당신얼굴 앞에서'에서 한 차례 호흡을 맞췄던 배우 이혜영, '밤의 해변에서 혼자'를 비롯해 홍상수 감독과 꾸준히 작품을 함께 해오고 있는 김민희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서영화, 권해효, 조윤희, 기주봉, 박미소, 하성국 등 앞선 홍상수 감독의 작품들에서 호흡을 맞춘 이들도 힘을 보탰다.
영화는 이혜영이 연기한 소설가 준희의 시선을 따라간다. 잠적한 후배의 책방으로 먼 길을 찾아간 준희는 이후 혼자 산책을 하고, 영화감독 부부 효진(권해효), 양주(조윤희)와 배우 길수(김민희)를 만난다. 이후 준희는 길수에게 함께 영화를 만들고 싶다고 설득한다.
![](https://image.xportsnews.com/contents/images/upload/article/2022/0418/1650207841761504.jpeg)
영화는 이전의 홍상수 감독의 작품처럼 92분의 러닝타임 동안 일상 속 이야기들이 잔잔하게 펼쳐진다.
눈에 띄는 것은 각자의 개성을 고스란히 드러내면서도, 홍상수 감독 작품 특유의 결에 자연스럽게 녹아든 이혜영과 김민희가 보여주는 편안한 매력이다.
이혜영은 실제 대중이 바라보는 당당함 넘치는 이미지처럼, 극 속에서도 '카리스마' 있는 인물로 표현된다. 자신의 귀에 계속해서 꽂히는 주위 사람들의 "카리스마 있다"는 말에는 "사람들 카리스마란 말 참 좋아한다"면서 대수롭지 않게 반응한다.
효진·양주 부부와 우연히 만나 대화를 나누며 그들의 이야기를 잘 듣고 있는듯 하다가, 태연한 목소리로 오목조목 날카롭게 이를 반박하는 이혜영의 얼굴을 통해서는 아이러니한 유쾌함까지 더해진다.
![](https://image.xportsnews.com/contents/images/upload/article/2022/0418/1650207851258421.jpeg)
길수의 재능이 아깝다며 "많은 감독들이 길수 씨를 기다리고 있다"고 길수의 복귀를 바라는 효진에게 준희는 "뭐가 아깝다는 것이냐"면서 "자기 인생을 갖고 자기가 판단해서 사는 것이다"라고 일침한다.
가죽재킷 차림으로 꾸민 듯 안꾸민 듯, 특유의 패셔너블한 분위기를 살린 모습으로 등장한 김민희는 "유명한 배우였죠"라고 자신을 소개하며 담담하게 말을 이어간다. 흑백으로 촬영된 영화 속 후반부에는 잠시 컬러 화면이 등장해 꽃과 함께 한 김민희의 얼굴이 가까이에서 비춰진다.
'전에는 강박같은 것이 있었는데 강박이라는 것이 나쁜 것만은 아니니까 괜찮은 것 같다'든지, '생활 속에서 만족하는 것을 늘려가 보자. 늙어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며 작품 속 캐릭터들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나지막이, 간접적으로 전하는 듯한 홍상수 감독의 화법도 귀를 기울이게 만든다. 21일 개봉. 12세이상관람가.
사진 = (주)영화제작 전원사, 콘텐츠판다
김유진 기자 slowlife@xportsnews.com